본문 바로가기
벌고

EPS란? PER 계산에 꼭 필요한 주당순이익 이야기!

by LM_光山 2025. 3. 25.
반응형

이번에는 **EPS(Earnings Per Share, 주당순이익)**에 대해 알아보자!
말 그대로 “주식 1주당 이 회사가 얼마나 벌었는가?”를 보여주는 지표야. 😎

EPS 인포그래픽
EPS 인포그래픽

 


✅ EPS 뜻 한 문장 요약

📌 EPS = 당기순이익 ÷ 주식 수(발행주식수)

예: 어떤 기업이 500억 원을 벌었고, 발행주식 수가 1억 주라면?

EPS = 500억 ÷ 1억주 = 500원

✔️ EPS 500원이란 건, 이 회사 주식 1주가 1년 동안 500원의 이익을 벌었다는 뜻!


💥 EPS는 왜 중요할까?

✔ PER 계산의 핵심 구성요소야 (PER = 주가 ÷ EPS)
✔ 기업의 ‘순수 수익성’을 보여주는 지표
✔ 분기 실적 발표 때 EPS가 시장 기대치를 넘으면 주가 급등!

📌 EPS 상승 = 실적개선 = 투자자 관심 증가


📉 EPS 변화에 따라 주가도 출렁출렁!

✔ EPS가 분기마다 상승하면 → “실적 개선주”로 분류돼서 매수세 유입 ✔ EPS가 예상보다 낮으면 → “실망 매도” 나올 수 있음

그래서 실적 시즌에 EPS 전망치 vs 실제 결과 비교가 아주 중요해!


✍️ 내 생각 (실전 팁)

난 EPS를 볼 때 지속적으로 성장 중인지 체크해.
1년만 반짝 좋아도 소용 없으니까!

✔ EPS 꾸준히 증가 + 매출 성장 = 믿고 보는 실적주
✔ EPS 좋고, PER 낮으면 → 저평가된 수익 우량주일 가능성!

📌 EPS는 단순 숫자가 아니라 실적 흐름을 파악하는 게 핵심이야.


🧠 마무리 요약

  • EPS는 주당순이익, 즉 1주당 벌어들인 순이익
  • PER 공식의 핵심이자 실적 분석의 기초
  • 분기 실적 시즌엔 EPS 변동이 주가에 큰 영향!

📍 다른 의견이 있다면? 댓글로 알려줘! 😊
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