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읽고

CPI는 떨어졌는데 시장은 왜 더 불안할까?

by LM_光山 2025. 4. 11.

숫자는 좋았지만, 분위기는 심상치 않았다

2025년 4월.
오늘 발표된 미국의 3월 소비자물가지수(CPI) 보고서를 보면
딱 이렇게 말할 수 있어.

“물가 잡힌 거 아냐?”
“이제 금리도 좀 내릴 수 있는 거 아니야?”

그런데,
정작 시장 반응은 말이야…

“응? 왜 이렇게 불안하지?”
“금리 인하 기대도 좀 미묘해졌는데?”

숫자는 분명 긍정적인데,
시장 분위기는 점점 더 조심스럽고 복잡해지고 있어.


📉 3월 CPI 발표, 기대 이상이었지만

  • 전체 CPI는 전년 대비 2.4% 상승
  • 전월 대비로는 0.1% 하락 (5년 만의 첫 하락!)
  • 근원 CPI도 2.8% 상승 → 2021년 이후 최저

주요 이유는
휘발유 가격 6.3% 하락
주거비 상승 둔화
식료품 가격 안정세

이 정도면
“이제 인플레 좀 진정된 거 아냐?” 싶었지.


🔥 그런데… 그 타이밍에 터진 ‘관세 폭탄’

딱 CPI 발표 며칠 전에
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125% 관세 때린다는 발표를 해버렸어.
그것도 전기차, 배터리, 철강 등 주요 산업 전반에.

이게 무슨 뜻이냐면…

“앞으로 수입 물가 다시 올라갈 수 있음”
“관세 전 선제 소비가 늘면, 이후 소비가 얼어붙을 수도 있음”

즉,
단기적 인플레 완화 → 중기적 불안감 확산
이라는 이상한 흐름이 된 거야.


📉 시장은 이렇게 반응했다

  • 미 증시, 발표 직후엔 상승했지만 다시 하락 전환
  • 연준, 5월 금리 동결 가능성은 ↑
  • 금리 인하 예상 시점은 2025년 중반 이후로 미뤄지는 분위기

한 마디로 말하자면…

“좋은 숫자지만, 지금 확신할 수 없어.”


🤔 나는 이렇게 본다

사실 이번 CPI만 보면
“미국 경제 연착륙 진짜 되는 건가?” 싶었어.
근데 관세 하나에 분위기가 싹 바뀌는 걸 보니까,
요즘 경제는 숫자보다 정치가 더 큰 변수라는 걸 실감했어.

한국도 마찬가지야.
우린 무역 비중이 큰 나라니까,
미국의 관세 정책 → 공급망 변화 → 환율 영향 → 우리 물가까지
다 연결돼 있다고 봐야 돼.

숫자만 보는 시대는 끝났어.
정책 + 정치 + 외교까지 읽어야 하는 시대인 거지.


다른 의견이 있다면? 댓글로 알려줘!
너는 이번 CPI, 어떻게 받아들였어?

반응형